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생명공학과 및 생명과학과 대학 순위

by 교육 BOX 2024. 4. 12.

생명과학 및 공학 분야는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생명공학과 및 생명과학과에 대한 관심도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QS대학순위를 기준으로 생명공학과 및 생명과학과 순위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생명공학과-생명과학과-대학-순위

서울대

서울대에는 생명과학 및 공학 관련 학과가 '생명과학부', '응용생물화학부',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등을 포함하여 총 여덟 곳 있습니다. 특히 생명과학부의 경우 전국의 관련 학과들을 모두 통틀어 가장 정시 표준점수가 높은 학과이기도 합니다.
 
생명과학부에는 김빛내리 교수, 강찬희 교수, 최명환 교수 등 노벨상 후보로 거론되는 명망 있는 연구자들이 많이 있습니다. 또한, 대학원의 경우 연세대, 고려대 등 타 대학 학부생 진학도 매우 활발한 편입니다.
 
서울대에서는 첨단 연구 인프라와 함께 교육 환경 또한 우수하여 생명공학 및 공학 분야를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카이스트

카이스트에는 생명과학 및 공학 관련 학과가 '생명과학과', '바이오및뇌공학과' 두 곳 있습니다.
 
서울대가 일반고나 자사고 학생들이 많이 진학한다면, 카이스트는 영재고나 특목고 학생들이 많이 진학하는 경향이 두드러집니다. 카이스트는 생명과학 부문에서 중요한 연구들이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대학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역사는 서울대보다는 짧지만, 훌륭한 연구 인프라를 바탕으로 최첨단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생명과학 분야로 진로를 잡으려는 학생들에게는 카이스트가 더욱 나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생명공학과-생명과학과-대학-순위

성균관대

성균관대에는 생명과학 및 공학 관련 학과가 '생명과학과', '식품생명공학과',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융합생명공학과' 네 곳 있습니다.
 
단과대학으로 생명공학대학이 존재하는 몇 안 되는 대학이기도 합니다. 성균관대는 카이스트나 서울대만큼은 아니지만 훌륭한 연구 인프라를 바탕으로 활발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성균관대에서는 생명과학 및 공학 분야를 포함한 이공계 분야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성균관대는 생명과학 분야로 진로를 결정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결론

2023 QS대학순위 기준 생명공학과 및 생명과학과 순위를 살펴보면, 서울대, 카이스트, 성균관대가 최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세 대학은 모두 우수한 연구 인프라와 교육 환경을 갖추고 있어 생명공학 및 공학 분야를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대학 선택은 단순히 순위에만 의존해서는 안 됩니다. 자신의 진로 목표와 적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