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KBS한국어능력시험 급수 등급별 난이도 및 일정

by 교육 BOX 2024. 7. 20.

KBS한국어능력시험은 한국어의 전반적인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이 시험은 한국어의 문해력, 독해력, 어휘력 등을 평가하며, 특히 기자나 아나운서, 공기업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많이 활

KBS한국어능력시험-일정-급수-등급-난이도

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KBS한국어능력시험의 등급별 난이도를 분석하고, 각 등급이 요구하는 한국어 능력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급수 체계

KBS한국어능력시험은 아래와 같은 등급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1급 (상위 1~3% 이내)
  • 2+급 (상위 2~7% 이내)
  • 2-급 (상위 6~18% 이내)
  • 3+급 (상위 15~40% 이내)
  • 3-급 (상위 25~45% 이내)
  • 4+급 (상위 40~80% 이내)
  • 4-급 (상위 60~90% 이내)
  • 무급 (5급/6급/7급, 그 외 나머지)

이 등급 체계는 응시자들의 절대적인 성적 뿐만 아니라 상대적인 순위도 반영하고 있습니다.

1급 난이도

1급은 한국어 전문가 수준의 능력이 필요한 등급입니다. 매우 소수만이 취득할 수 있는 이 등급은 매우 높은 난이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전문가 수준의 한국어 능력이 필요하며, 평소에 꾸준한 독서와 학습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문해력이 뛰어나야 하며, 다양한 장르의 문헌을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2+급~2-급 난이도

2+급과 2-급은 전문가 수준은 아니지만, 일반인으로서 뛰어난 한국어 능력을 필요로 합니다. 이 등급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수능 국어 영역에서 1~2등급 정도의 실력이 필요합니다. 즉, 일반적인 한국어 사용에 능숙할 뿐만 아니라, 다소 어려운 표현이나 문장 구조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3+급~3-급 난이도

3+급과 3-급은 평균 이상의 일반인들이 취득할 수 있는 등급입니다. 이 등급을 취득하려면 좀 더 뛰어난 한국어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수능 국어 영역에서 2~3등급 정도의 실력이 필요합니다. 이등급은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편안한 한국어 소통 능력을 인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4+급~4-급 난이도

4+급과 4-급은 평균 이상의 한국어 능력을 갖춘 사람들이 취득할 수 있는 등급입니다. 이 등급은 일상 업무나 소통에는 큰 어려움이 없지만, 전문적인 분야에서는 어휘나 표현력 등에서 부족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KBS한국어능력시험-일정-급수-등급-난이도

무급

무급은 기본적인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등급으로, 일상적인 소통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전문적인 업무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 등급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이나 한국어 학습 초반의 학습자들을 위한 등급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결론

KBS한국어능력시험은 1급부터 무급까지 다양한 등급을 가지고 있으며, 각 등급별로 적합한 한국어 능력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취업이나 공부 목적에 맞게 적절한 등급을 선택하여 시험에 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등급별 난이도 이해는 시험 준비 전략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