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학, 생명과학 전공을 하고 공무원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분이라면 농업직공무원이나 농촌지도사로의 진출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이 두 공무원은 모두 농업 분야를 다룬다는 공통점이 있는데요. 어떤 차이점이 있길래 이렇게 서로 다른 공무원으로 분류하고 있는 걸까요?
직렬
농업직공무원은 기술직공무원으로 분류되는 반면, 농촌지도사는 지도직공무원으로 분류됩니다. 기술직공무원이란 일반직공무원의 일종으로, 기술 업무와 관련 행정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을 말합니다.
지도직공무원이란 농어촌 등지에서 해당 농민들과 어민들을 지도하는 공무원을 말합니다.
하는일
농업직공무원은 주로 농업과 관련된 정책과 행정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합니다. 농지 불법 행위 단속, 지역 농지 관리, 농지 재해 방지 등이 대표적입니다. 반면 농촌지도사는 농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농촌 지역 교육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농촌 지역 생활 수준 확대, 문화 수준 향상, 농민 육성과 같은 것들을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시험
농업직공무원 시험에서는 9급, 7급, 5급 공무원을 지방직 또는 국가직 공무원으로 선발합니다. 특채 시험보다는 공채 시험으로 좀 더 많이 채용한다는 것도 특징입니다.
반면 농촌지도사 시험은 급수별로 채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오직 지방직으로만 채용합니다. 공채 시험은 거의 없다시피 하고 주로 특채 시험으로 선발합니다.
계급
농업직공무원 같은 기술직공무원은 일반직공무원과 동일하게 1급부터 9급까지의 세부적인 계급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농촌지도사 같은 지도직공무원은 지도사와 지도관 2가지의 단순한 계급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도사에 해당하는 농촌지도사의 경우 6~8급 대우를 받고, 지도관의 해당하는 농촌지도사의 경우 2~5급 대우를 받습니다.
선발 인원
전국에 분포하고 있는 농촌지도사의 인원보다 농업직공무원의 인원이 훨씬 많습니다. 채용 시험의 선발 인원도 마찬가지인데요. 그래서 농업직공무원은 매해 응시할 수 있는 시험의 종류가 5급, 7급, 9급, 지방직, 국가직, 공채, 특채 등으로 농촌지도사에 비해 훨씬 다양한 편입니다.
반면 농촌지도사는 응시할 수 있는 시험의 종류도 공채와 특채뿐이고 대부분 특채로만 선발하는 데다, 농업직공무원에 비해 채용 공고가 훨씬 적어 시험 준비 부담이 클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결론
농업직공무원과 농촌지도사는 모두 농업 분야에서 일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직렬, 하는일, 시험, 계급, 선발 인원 등에서 차이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농업직공무원이나 농촌지도사로의 진출을 희망하는 분이라면, 자신의 흥미와 적성, 그리고 미래의 비전을 고려하여 어떤 공무원이 나에게 맞는지 잘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흥미와 적성 농업직공무원은 농업 정책과 행정 업무에 관심이 많고, 농업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 싶은 분에게 적합합니다. 농촌지도사는 농민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데 관심이 많고, 농촌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싶은 분에게 적합합니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기계설비기사, 건설기계정비기사 합격률 분석 (0) | 2024.04.06 |
---|---|
9급 조리직공무원(조리공무원) 시험, 응시자격 자격증 종류 및 추천 (0) | 2024.04.06 |
타일기능사 시험의 모든 것 (0) | 2024.04.05 |
ODA 자격증 시험 일정 난이도 합격률 총정리 (0) | 2024.04.04 |
동물병원 수의테크니션 되는법: 2단계로 정리해 드립니다 (0) | 2024.04.04 |